본문 바로가기

생황정보

주린이들이 알아야 할 주식 기초 용어

주린이들이 알아야 할 주식 기초 용어

주식 초보인 ‘주린이’가 처음 증권 계좌를 열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4가지 지표는 시가총액, EPS, PER, PBR입니다. 이 기본 용어만 정확히 이해해도 기업 분석과 투자 판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. 아래에서 각각의 정의, 개념, 계산법, 투자 팁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

① 시가총액(시장가치)

정의
시가총액은 기업의 ‘몸값’을 나타내며, 지금 시장에서 해당 기업이 얼마의 가치를 가지는지를 나타냅니다.

개념
시총은 주식 1주의 현재 가격에 발행주식 수를 곱한 값입니다. 이를 통해 기업의 크기나 시장 내 위상을 비교할 수 있으며, 투자자들이 기대하는 성장 가능성도 반영됩니다.

계산법
시가총액 = 현재 주가 × 발행주식 수

예시
주가가 5만 원이고, 발행주식 수가 1억 주라면 시총은 5조 원입니다. 이는 “5조 원짜리 회사”로 평가받고 있다는 뜻입니다.

투자 팁
시총이 큰 기업은 안정성이 높고 변동성이 작지만, 작은 기업은 고위험·고수익의 가능성을 내포합니다.


② EPS (주당순이익)

정의
EPS는 한 주가 벌어들인 이익을 의미합니다. 회사 전체의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.

개념
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우수하다는 뜻입니다. 이 지표를 통해 기업의 ‘실적 체력’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.

계산법
EPS = 당기순이익 ÷ 발행주식 수

예시
순이익이 2,000억 원이고, 주식 수가 1억 주라면 EPS는 2만 원입니다.

투자 팁
EPS는 기업의 이익을 기반으로 하므로, 유상증자나 스톡옵션 등으로 주식 수가 늘면 EPS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.


③ PER (주가수익비율)

정의
PER은 현재 주가가 연간 순이익의 몇 배로 거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
개념
PER이 낮으면 저평가, 높으면 고평가라고 볼 수 있지만, 업종별 평균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계산법
PER = 주가 ÷ EPS 또는 PER = 시가총액 ÷ 순이익

예시
EPS가 2만 원, 주가가 5만 원이면 PER은 2.5배입니다.

투자 팁
절대 PER 수치보다 업종 평균, 성장률과의 비교(PER, PEG)를 통해 투자 가치를 평가해야 합니다.


④ PBR (주가순자산비율)

정의
PBR은 주가가 자산가치(청산 시 자산)의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
개념
PBR이 1보다 낮으면 회사의 장부상 가치보다도 낮은 가격에 주식이 거래된다는 의미로, 저평가 신호일 수 있습니다.

계산법
PBR = 주가 ÷ BPS (BPS = 자본총계 ÷ 발행주식 수)

예시
자본총계 1조 원, 주식 수 1억 주라면 BPS는 10만 원입니다. 주가가 8만 원이면 PBR은 0.8배입니다.

투자 팁
전통 제조업이나 금융업은 자산 기반의 PBR 분석이 유효하지만, 무형자산 중심의 IT 기업은 단순 PBR보다 수익성과 미래 성장성을 더 고려해야 합니다.


마무리

이 네 가지 기본 지표(시가총액, EPS, PER, PBR)는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주린이에게 필수적인 도구입니다. 숫자만 외우기보다는 의미와 쓰임을 이해하고, 다른 지표와의 조합을 통해 보다 입체적인 분석을 시도해보세요.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‘이해하고 투자하는 것’이라는 점을 잊지 마세요.